<
Daybook
한동원의 글 수첩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의 가르침

2003 12. 19




체 무슨 소리냐!며 발끈하실 분들이 많으실 줄로 안다만,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는, 개인적으로는 그닥 별 감흥이 없는 영화였다.

하지만 필자에게 이 영화는 결코 잊을 수 없는 한 장면을 보유한, 말하자면 결정적인 한 방 덕분에 영원히 기억에 각인되고 만 그런 영화이기도 하다.

물론 그 한 방의 주인공은, 젊어서나 늙어서나 어떻게든 한껀 해주지 않고서는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우리의 클린트 형님이다.

근데 그 장면이란 과연 어떤 장면인가.


때는, 두 남녀 주인공의 불같던 며칠이 지나고 바야흐로 영화가 거의 막바지에 다다를 무렵.

어느 비오는 날, 남편과 읍내에 장을 보러나간 메릴 스트립 누님은 먼저 장보기를 마치고 트럭 안으로 돌아와 앉는다. 그리고, 길 건너 저편에 비를 맞고 서서 자신을 쳐다보는 누군가에게 눈길이 멈춰서고 만다.


장면1


그렇다. 그는 다름 아닌, 클린트 형님이었던 것이다.


장면2


놀라움과 반가움, 그리고 그를 넘어서는 감정들로 서서히 얼굴이 굳어가는 메릴 스트립 누님...

그런 그녀를 향해, 천천히 한 걸음씩 다가서는 클린트 형님...


장면3
장면4


그리고 메릴 스트립 누님의 만감이 교차하는 얼굴이 화면 가득 비춰지고 나면,


장면5



마침내.....


장면6


아아...

끝도 없이 내리던 비로 인해 수박 줄무늬마냥 두피에 밀착되어 버리고 말았던 클린트 형님의 안타까운 머리숱..

화면 가득 골룸스러운 애처로움을 흩뿌리던 그 毛들은, 필자의 가슴을, 장마철에 내다널은 기저귀마냥 한큐에 적시어 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얘기한다.

남편과 함께 트럭에 타고 있던 메릴 누님이 차문을 박차고 뛰어나가, 앞 트럭의 운전석에 앉아있던 클린트 형님의 품으로 달려가지 못했던 수많은 이유들에 대하여.

하지만 아무래도 필자의 소견으로는, 메릴 누님이 끝까지 차마 차문을 열지 못했던 진정한 이유는 따로 있었던 듯 싶다...


• •


우리는 이 애닲은 이야기의 교훈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볼 수 있겠다.


(1) 비는 함부로 맞을게 못된다. 탈모人들이라면 더더욱.

(2) 아무리 설정 그런 게 중요하다 하더라도, 먼저 자신이 처한 상황을 잘 고려해야 한다.

(3) '함축적 눈빛으로 암시' 뭐 이런 거보다는, 그냥 말로 하는 게 더 나을 때가 많다. 특히 남녀관계에 있어서는.


이들이야말로 수박化와 두피 노출의 위험마저 감수하며 줄줄 비를 맞던 클린트 형님이, 본의 아니게 우리에게 던진 가르침일 것이다.


아, 클린트 형님...


:: Gorillaz ::
<Clint Eastwood>






© 한동원 1999~
이 사이트의 모든 내용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인용시 반드시 출처를 표기해주시기 바랍니다. 사이트의 모든 내용은 AI 학습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